LH, 전국 215개 사업지구에 드론 도입…250억 신규시장 창출

민간 건설업체·타 공공기관 등 건설 全 분야로 선도사례 확산 기대

이학면 기자 | 기사입력 2018/01/03 [16:54]

LH, 전국 215개 사업지구에 드론 도입…250억 신규시장 창출

민간 건설업체·타 공공기관 등 건설 全 분야로 선도사례 확산 기대

이학면 기자 | 입력 : 2018/01/03 [16:54]

이르면 2월부터 토지‧주택 관련 업무에 드론이 본격 활용된다. 이로 인해 창출되는 신규 드론시장은 연간 25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와 한국토지주택공사(사장 박상우, 이하 LH)는 215개 사업지구(389km2, 238조 원 규모)에서 조사‧설계‧공사관리 등에 드론을 우선 활용하고, 향후 지속 확대한다.


건설단계

표준공종

드론 활용방안

계획


(Planning)

후보지조사

토지이용 현황조사, 후보지선정, 지구계 결정

공람공고

지구지정, 보상목적의 불법행위 파악 등

보상

토지물건영업조사 및 보상, 사업지구 관리

설계


(Engineering)

현황조사측량

토지현황조사측량, 토공량산출, 노선단지 선정

토목BIM설계

단지도로 설계, 3차원 공간모델링 등

건축설계

주택, 아파트 등 각종 건축설계

시공


(Construction)

단지공사

가설공사계획, 공정관리 및 시공평가

도로공사

도로공사 공정관리 및 시공평가, 감리업무

건물공사

공사계획수립, 건물공사 진행현황 모니터링 및 관리

안전진단

구조물(아파트 등)취약부분 점검진단

유지관리


(Maintenance)

자산관리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시설물의 안전관리에관한 특별법에 따른 안전점검


완공현장 입주아파트 자산관리

기 타

홍보

홍보 정사영상 제작 등

 

그간 LH는 관련 용역과 시범운용을 통해 계획부터 시설물 유지관리 단계까지 주요사업 전 분야에 대하여 드론 활용을 검증해 왔으며 5개 분야 12개 업무※에서 드론을 우선 활용할 계획이다.
 
※ ① 계획(후보지조사, 공람공고, 보상) ② 설계(현황조사측량, 토목BIM 설계, 건축설계) ③ 시공(단지공사, 도로공사, 건물공사, 안전진단) ④자산‧유지관리 ⑤홍보
 
(계획단계) 사업추진에 필요한 토지를 수용‧보상하기 위한 현장조사업무 및 신규 사업지구 결정, 사업지구 경계 설정을 위한 후보지 조사 등에 드론영상이 활용된다.
  
토지보상의 경우 사업초기단계에 항공사진을 일회성으로 촬영‧활용하고 직접방문조사를 병행하던 방식을 수시 확보되는 드론 영상과 지적도‧지형도 간 중첩‧비교하는 방식으로 대체한다.
  
특히 일정기간(‘16. 2.~’16. 8.) 택지지구, 국가산단 등의 보상업무에 시범운영한 결과, 현장조사에 애로를 겪던 험지조사 등을 수월하게 할 수 있었고, 신뢰성 있는 주민 공람 자료로도 활용 가능했다.
  
후보지 조사 시에도 주변 자연환경, 표고‧경사, 토지이용현황 등을 드론영상으로 파악하여 사업지구를 결정한다.

 

 
 
           후보지조사(드론영상+지형도)         보상업무(드론영상+지형도+지적도)

 

(설계단계) 시설물의 형상‧속성정보를 실제와 동일한 3차원 정보로 구축하고, 공공측량에 적합한 수치지형도면 등을 제작하는 등 설계 및 토목BIM* 구축업무에 드론을 활용할 수 있다. 

* 시설물의 형상‧속성정보를 디지털로 구축하여 기획‧설계‧유지관리 등 사업관리에 활용


드론으로 촬영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3차원 지형모델을 생성하고 측량프로그램을 통해 단면도의 작성과 작업물량의 산출이 가능하다.

 

토목BIM 구현 시에도 인력에 의존하던 건설현장 시공관리와 목측, 각종 측량기기를 통한 측정방식을 고해상도 영상기반의 3차원모델 DB를 활용하여 대체할 수 있다.


(시공‧유지관리 단계) 공사현장의 공사진행 파악과 공정관리, 안전점검 등의 업무에 드론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단지공사의 경우 작업공정별 영상자료를 구축하여 지형특성을 비교분석할 수 있으며, 지하매설물 관로‧맨홀‧구조물‧조사측량‧포장 등 다양한 설계도면을 중첩한 공사 관리도 가능해진다.


아파트 등의 주택공사에서는 접근이 어렵고 위험한 현장에 회전익 드론을 활용하여 다각도의 영상획득이 가능해지고 이를 통해 외관조사, 균열, 파손 등의 손상 규모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장에서 시행되는 수시‧정기점검에 드론을 활용해서 정밀도를 높이고 지반붕괴‧낙석‧토사침출‧구조물파손 등 건설재해 발생으로 인한 긴급 복구계획을 수립 할 때에도 활용된다.
 
특히, 안전점검은 주로 육안조사로 실시하고 있어 고층부 외벽 등에는 한계가 있었지만 드론에 고정밀 RGB영상 또는 열화상 영상취득 센서 등을 통해 근접 촬영하면 균열부 확인, 입체적 영상분석 기법을 통한 시설물 내 손상부분을 탐지할 수 있다.
 
향후에는 주기적으로 촬영하여 축적되는 공사현장의 드론영상과 사물인터넷(IoT) 장비를 장착한 건설기계‧인력이동‧건설관련 정보를 통합해 시기별 공사 통계정보의 정확도가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측된다.


드론으로 취득된 다양한 공간‧공사정보의 처리‧가공‧활용을 위해 LH는 세계 최초의 원스톱 운영시스템을 구축한다. 
 
본 시스템을 통해 전국 LH 사업지구 내 비행하는 모든 드론은 사전승인을 받아야 하며, 중앙통제에 따라 현장에 설치된 지상관제장비(내비게이션, 경로추적, 스마트폰View 등)를 통해 비행하게 된다.
 
현장(사업본부)에서 취득된 영상들은 중앙 통제실로 실시간 전송되며, 중앙 통제실은 수신영상을 GIS 정보로 변환한다. 변환된 정보는 현장으로 재전송되고 빅데이터 서버(도시플랫폼)에도 저장된다.
 
아울러, 부품‧소모품에 대한 유지보수 관리체계를 구축해 추락 등으로 인한 기체 손실‧고장 시에도 즉각 대응도 가능하다.
 
LH는 국산기술로 제작된 드론을 25기를 도입한 바 있으며, 관련 운영시장 형성을 위해서도 일정 면적(약 30만m2) 이상의 사업지구에서는 외주 용역을 통해 드론을 운용할 계획이다.


                                       < LH의 드론 통합 운용방안 >    

 

전국 LH 사업 현장에 드론을 전면 활용하는 경우 연간 약 2,500여회의 비행소요가 예측되며, 연간 약 250억 원의 신규 드론시장(시공: 154억, 자산관리: 50억, 계획: 12억 등)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밖에도, 기존 연 130억 원이 소요되는 항공촬영 업무를 드론으로 대체하는 경우 비용은 절반 수준(1.8천만→0.8천만, 1km2 기준)으로 줄어들어 연 66억 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항공사진의 해상도는 약 50cm 수준인 반면 드론은 약 5cm 수준의 해상도 확보가 가능하며, 기상 등 주위 환경에 영향이 적어 운영가능일도 3배 이상 증가(80일→수시)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스마트한 건설관리로 공사과정의 투명성이 확보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번 사례는 다른 공공기관 및 민간 건설업계에도 선도적인 사례가 되어 확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드론 활용성과 연구를 수행한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이석배 교수는 “LH의 드론도입으로 업무 효율성 증대 등 직접적인 효과 외에도 위험한 건설현장의 안전사고 예방, 기술인력 수요로 인한 일자리 창출이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원본 기사 보기:safekoreanews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예비)후보자 및 그의 배우자, 직계존·비속이나 형제자매에 관하여 허위의 사실을 유포하거나, 이들을 비방하는 경우 「공직선거법」에 위반됩니다. 대한민국의 깨끗한 선거문화 실현에 동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주간베스트 TOP10
광고
광고